스프린트 계획
채점 큐 Redis pub/sub 적용
채점 도커 컨테이너 늘리기(with. CPU 제한)
채점 서비스 성능 시각적으로 보여주기
도커 컨테이너 관리
코드 리팩토링(간단한 이슈)
아키텍쳐 정리
12/5(월)
- 프로젝트 소개
- 아키텍쳐 정리
- 채점 서비스 성능을 시각적으로 어떻게 보여줄까
- result 테이블에 createdat 을 넣어서 submission이 들어온 시간과 result 테이블에 해당 submission에 대한 row가 생성된 시간을 비교해보자 → 테스트코드 짜기
- 악의적인 사용자를 어떻게 방지할까 ⇒ 생각만 해보기
- 문제 추가 시 일정 수 이상의 approve를 받은 문제만 제출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
- 본인이 만든 문제에 대한 코드와 테스트케이스를 함께 넣어 테스트 케이스라도 검증하는 방식
- 이상한 문제 신고 제도 → 신고 당한 문제 출제자와 신고 당한 문제를 approve한 사람은 신뢰도 하락 & 신고한 사용자는 신뢰도 상승 ⇒ 신뢰도 순위판 (like 당근 온도기능)
12/6(화)
- 도커 빌드 속도 이슈 해결
- 채점 서버 CD
- 채점 도커 컨테이너 늘리기(with. CPU 제한)
- 채점 도커 1개일 때 성능 측정
- 채점 도커 3개로 늘리기
- 채점 도커 3개 늘리고 성능 측정
- 프로젝트 소개 GIF따기
12/7(수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