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y 1
- DB 초기화
- 프로젝트 리드미 작성
- 프로젝트 소개
- DB result createdAt 추가
- 성능 측정 지표 작성
Day2
- 프로젝트 소개 GIF따기
- 채점 성능 측정
- 채점 도커 1개일 때 성능 측정
- 채점 도커 3개 늘리고 성능 측정
- 채점 도커 3개로 늘리기
- 채점 서버 배포 CD
Day3 - 멘토링
- API 통신 → redis 메시지 큐를 이용한 채점 방식으로 변경 [채점 서비스] PART2. Redis 메시지 큐를 이용한 구현
- 하나의 채점을 큐에서 가져오는 방식 구현
- 3개의 채점을 동시에 진행하지 않으면 계속 채점을 큐에서 가져오는 방식 구현
- 채점 성능 지표 만들기 [채점 서비스] 채점 성능 측정
- pgAdmin graph visualizer 이용
- pgAdmin query tool 이용
- 채점 성능 측정
- redis 메시지 큐 + 채점 서버 1개
- redis 메시지 큐 + 채점 서버 2개
Day4
- 채점 서버 1개 → 채점 서버 2개 사용하는 방식
- Day3때 구현한 Redis 메시지 큐를 이용해 그대로 추가 배포만 진행
- 실시간으로 채점 결과 갱신
- 현재 보고있는 페이지에서 채점이 되지 않은 제출이 있을 때 1초마다 갱신
Day5